Search

스포츠 예능, 시청자들이 왜 그리 좋아할까? - 머니투데이

사진제공=JTBC
사진제공=JTBC
스포츠 예능 전성시대다. ‘무한도전’·‘1박2일’ 등의 리얼 버라이어티, ‘아빠 어디가’·‘슈퍼맨이 돌아왔다’로 대표되는 육아 예능, ‘나 혼자 산다’·‘미운우리새끼’와 같은 관찰 예능의 배턴을 이어받은 스포츠 소재 예능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통상 스포츠는 ‘각본 없는 드라마’라 불린다. 경기 내용이 생각지 못한 방향으로 흐르며 감동과 희열을 주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스포츠를 소재로 삼은 드라마는 통상 실패한다. 짜인 각본으로 진행되는 드라마 속 스포츠는 작위적인 느낌이 강한 탓이다. 그런데 스포츠 예능은 다르다. 여러 방송사에서 봇물처럼 쏟아지는 유사 프로그램들이 저마다의 매력을 뽐내며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왜일까?

최근 불고 있는 스포츠 예능 돌풍의 시작은 JTBC ‘뭉쳐야 찬다’이라 할 수 있다. 기획의도는 간단하다. ‘대한민국 스포츠 1인자들이 전국 축구 고수와의 대결을 통해 조기축구계 전설로 거듭나기까지 불타는 승부욕, 실패와 좌절, 값진 승리의 순간이 함께 할 스포츠 레전드들의 성장 스토리를 담은 예능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스포테이너(스포츠+엔터테이너)를 가장 잘 활용한 사례로 손꼽힌다. 안정환·이동국(축구), 박태환(수영), 이대훈(태권도), 이형택(테니스) 등 각계 레전드들이 등장하는데, 월드 클래스 수준의 선수들이 주종목이 아닌 축구를 시작하면 일반인과 다를 바 없이 헛발질을 해대는 것이 웃음의 포인트다.

‘뭉쳐야 찬다’의 성공 방정식을 또 다른 방식으로 잘 푼 대표적 스포츠 예능은 SBS ‘골 때리는 그녀들’이다. 이 역시 종목은 축구인데, 공을 차는 주체가 달라졌다. 여성 아나운서, 배우, 가수, 모델 등이 팀을 나눠 대항전을 펼치는 형식이다. 이 프로그램이 사랑받는 이유는 출연진들의 ‘진심’ 때문이다. 학창 시절, 운동장은 통상 남학생들의 모습이었다.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도 남학생들이 운동장을 통째로 쓰면서 축구를 하면, 갈래머리를 땋은 여학생들은 벤치에 걸터앉아 그 모습을 바라보며 얼굴을 붉히거나 박수를 쳤다. 하지만 ‘골 때리는 그녀들’ 속 그녀들은 다르다. 온 몸에 멍이 들고 부상을 안고 산다. "도대체 이게 뭐라고…"라고 한탄하면서도 좀처럼 축구를 놓지 못한다. 촬영 스케줄이 없을 때는 따로 연습 삼매경에 빠진다. 그 안에서 발군의 실력을 뽐내는 이들도 있다. ‘혜컴’이라 불리는 배우 정혜인과 아나운서 윤태진 등이다.

사진제공=MBN, SBS
사진제공=MBN, SBS

이 배턴을 이어받아 JTBC ‘마녀체력 농구부’, MBN ‘국대는 국대다’, E채널 ‘노는 언니’ 등이 방송되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이 꾸준히 제작되고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게 된 중심에는 끊임없이 공급되는 레전드급 스포테이너들이 있다. ‘골 때리는 그녀들’에는 이영표·이천수·최진철 등 2002 한일 월드컵의 주역들이 감독으로 참여한다. ‘마녀체력 농구부’에도 한국의 농구 열풍을 주도했던 문경은, 현주엽 등이 버티고 있다. 여성 스포테이너들의 이야기를 그린 ‘노는 언니’에는 맏언니 박세리를 주축으로 이상화, 한유미 등이 출연한다.

스포츠 스타가 가진 가장 큰 비애는 생명력이 짧다는 것이다. 극한 체력을 요구하는 만큼 대다수 20대에 전성기가 끝난다. 30대만 접어들어도 ‘노장’으로 분류되고 40대에도 현역 생활을 이어가는 경우는 드물다. 이 때문에 이동국이 40대에도 프로 축구선수로 뛰며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모습을 두고 "기적 같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최근 등장하는 스포테인먼트 예능은 이들을 적절히 활용한 사례다. 강호동을 시작으로 서장훈, 안정환, 허재 등이 자리잡을 때만 해도 그 수를 손에 꼽을 정도였으나 이제는 일일 헤아리기 어려운 수준이다. 항상 새로운 얼굴을 찾는 방송 제작진 입장에서도 새로운 스포테이너의 공급은 반갑다. 이렇다 보니 현역 생활을 하며 예능 활동을 병행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방송 활동을 잡아주는 연예기획사에 소속되는 경우도 증가했다.

사진출처=JTBC '마녀체력 농구' 방송 화면 캡처
사진출처=JTBC '마녀체력 농구' 방송 화면 캡처

한 방송 관계자는 "이런 스포테이너들은 엄청난 서사를 갖고 있다. 세계 대회에 나가 가장 높은 자리에 서고, 국민들에게 감동과 추억을 안겨줬다. 이런 이야기를 푸는 것만으로도 방송 프로그램을 이끌어갈 수 있다"면서 "방송인으로서는 신인이지만 인지도만 따졌을 때는 전국구다. 여기에 선수 시절에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주고 의외의 ‘허당미’까지 보여주기 때문에 금상첨화"라고 말했다.

스포츠 예능이 스포츠 드라마와 달리 각광을 받는 이유는, 리얼을 담보로 한 관찰 예능의 콘셉트와 접목됐기 때문이다. ‘뭉쳐야 찬다’와 ‘골 때리는 그녀들’ 모두 주어진 콘셉트 안에서 조직된 프로그램이지만, 경기 과정과 성패는 아무도 알 수 없다. 경기 자체는 ‘리얼’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22일 방송된 ‘골 때리는 그녀들’의 FC구척장신과 FC원더우먼의 경기가 편집을 통해 조작돼 송출됐다는 일이 알려진 후 시청자들의 불같이 화낸 이유다. 이 프로그램을 ‘리얼’로 믿고 몰입하던 시청자들을 배신한 셈이기 때문이다. 결국 SBS는 입장문을 통해 "방송 과정에서 편집 순서를 일부 뒤바꿔 시청자들께 혼란을 드렸다"라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고개숙였다.

이런 맥락으로 볼 때, ‘스포츠’와 ‘스포츠 예능’을 바라보는 시청자의 관점은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는 치열한 경쟁과 그 속에서 응원하는 팀의 승리를 갈구하고, 스포츠 예능은 이와 더불어 웃음을 원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공정’이 깔려 있어야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경기에서 잇단 판정 시비와 불공정한 경쟁으로 전세계인의 질타가 쏟아졌듯, 대중은 공정한 경쟁과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는 모습을 보길 원한다. 스포츠를 소재로 삼은 예능 역시 다르지 않다.

Adblock test (Why?)

기사 및 더 읽기 ( 스포츠 예능, 시청자들이 왜 그리 좋아할까? - 머니투데이 )
https://ift.tt/V6nSkvI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스포츠 예능, 시청자들이 왜 그리 좋아할까? - 머니투데이"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