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 5일 업무를 개시한 서울 서대문구 스포츠윤리센터에서 이숙진 신임 이사장 및 직원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일 출범한 스포츠윤리센터가 효율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걱정이 많다.
일단 스포츠 전문 인력들이 별로 없다. 대한체육회, 프로단체 등 체육계 전문 인력들이 채용과정에서 대부분 탈락했다. 대한체육회 (성)폭력 전문 상담사(계약직)는 센터 과장직에 지원했는데 서류전형에서 미끄러졌다. 스포츠계 부정방지 교육 등을 해온 스포츠 전문 변호사도 고배를 마셨다. 법률 자문은 센터 업무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체육계에서 일한 인사는 못 믿는다. 우리가 알아서 하겠다’는 오만으로 보여진다.
센터 직원은 실장 2명, 팀장 5명, 과장 5명, 대리 6명, 상담사 3명, 주임 4명 등 25명으로 구성됐다. 실무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여가부 차관 출신 초대 센터 이사장도 인권 전문가지만 스포츠는 잘 모른다. 그래서 센터 고위직의 경력과 능력이 중요했다. 그런데 실장 한명도 인권은 알겠지만 스포츠는 모른다. 다른 한명은 스포츠 단체에서 자문위원으로 일한 은퇴를 앞둔 군 검찰 출신 인사다. 이들이 특수하고 전문적인 스포츠계 비위 조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조속한 시일 내에 이상적인 업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채용 과정에서 논란도 제기됐다. 센터설립추진단 산하 실무지원단에서 일한 몇몇 인사가 센터직원으로 지원해 합격했다. 본인이 만든 센터에 본인이 지원해 합격한 꼴이다. 채용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입찰을 통해 선정한 업체가 전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했다.
전문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임위원회라도 만들었어야 했다. 그런데 지금 나온 건 유명인사가 포함된 비상임위원회다. 주요 업무에 대한 최종 의결권을 겸직 비상임위원들이 갖는 것이다. 본업도 ‘바쁜’ 비상임위원들이 얼마나 자주 모여서 얼마나 다각적으로 논의하고 얼마나 실효성 있는 결정을 내릴지 의구심이 든다.
센터는 독립기관으로 법률적으로 스포츠계 비위를 조사할 전권을 갖고 있다. 관련 규정에 따라 대한체육회 등에서 비슷한 일을 해온 부서와 인력은 없어진다. 신고 접수, 예방 교육, 조사 및 징계 등을 모두 센터가 맡는 것이다. 센터 혼자 해결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각종 실무 위원회를 추가하는 동시에 인력 보충, 예산 확대도 필요하다.
센터 출범은 고 최숙현 사태로 들끓은 여론을 진정하려는 듯 성급하게 진행됐다. 지금이라도 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스포츠계 특수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성 교육이 진행돼야 한다. 앞으로 스포츠계 비위를 신고할 창구는 센터뿐이다. 센터는 센터로 신고하면 피해자들이 신고 내용이 보호받을 수 있고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신뢰감을 줘야 한다. 센터는 체육 단체들을 개혁의 대상으로, 적으로 보고 무시하면 안 된다. 경기단체·체육회·장애인단체·프로단체·학교 및 직장 운동부 등과 원활하게 협력할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한다. 할 일은 많은데 이런 일들을 성공적으로 해낼 전문가들이 센터에는 별로 없어 보인다.
센터는 국민체육진흥법상 법정 법인이다. 예산도 모두 세금과 기금이다. 따라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적극적으로 감독하고 감사하는 게 맞다. 스포츠윤리센터는 이름에 걸맞게 ‘스포츠’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윤리적으로’ 업무를 완수하는 조직이 되기 위해 지금부터 더 많이 노력해야 한다.
August 09, 2020 at 02:20PM
https://ift.tt/3a6GRWU
[김세훈의 스포츠IN] 스포츠 전문성 부족 스포츠윤리센터, 보안할 게 많다 - 스포츠경향
https://ift.tt/37koVGH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김세훈의 스포츠IN] 스포츠 전문성 부족 스포츠윤리센터, 보안할 게 많다 - 스포츠경향"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