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여성 스포츠 최다수입 1∼9위는 테니스 선수 - 한겨레

sportkaleo.blogspot.com
포브스 최근 1년간 여자 선수 수입 비교
메이저 상금 남녀차별 없는 테니스 강세
루마니아의 시모나 할레프. AFP 연합뉴스
루마니아의 시모나 할레프. AFP 연합뉴스
여자 테니스 선수들이 남녀상금 차이를 없애온 노력의 혜택을 보고 있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18일(한국시각) 여자테니스 선수가 1~9위를 차지한 2020 여자 선수 수입 순위를 발표했다. 지난해 6월1일부터 1년간 상금·급여, 보너스, 후원 및 광고비, 출연 및 초청료 등을 합산해 순위를 정했는데, 톱10 가운데 9명이 테니스 선수들이다. 1위는 2018년 유에스(US)오픈과 2019년 호주오픈 정상에 오른 오사카 나오미(일본)다. 오사카는 최근 1년간 상금 340만달러를 벌었지만, 내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여러 기업과 계약하면서 3400만달러의 후원수입을 추가해 3740만달러를 기록했다. 2위는 미국의 세리나 윌리엄스로, 그는 상금 400만달러와 후원금 3천200만달러를 더해 3천600만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3위부터 9위까지도 애슐리 바티(호주), 시모나 할레프(루마니아), 비앙카 안드레스쿠(캐나다), 가르비녜 무구루사(스페인), 엘리나 스비톨리나(우크라이나), 소피아 케닌(미국), 안젤리크 케르버(독일)가 차지했다. 톱10에 테니스 이외 종목 선수로는 축구 선수인 알렉스 모건(미국)이 유일하게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여자 선수 수입의 주요 항목은 경기장 밖에서 이뤄지는 스폰서십으로 돼 있다. 하지만 여자 테니스 선수들이 타 종목에 비해 높은 수입을 거두는 것은 선배들이 일찍부터 상금 남녀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등 목소리를 높여온 측면이 있다. 그랜드슬램 대회인 유에스오픈은 1973년, 호주오픈은 2001년, 프랑스오픈과 윔블던은 2007년에 남녀상금의 차이를 없앴다. 포브스는 50년 전에는 남녀 상금의 격차가 12대1까지 난 적이 있다고 전했다. 피파 월드컵 축구나 주요 메이저대회 골프에서 남녀상금의 차이가 큰 것과 비교하면 테니스 종목의 특성이 도드라진다. 물론 메이저 테니스 대회에서 남자는 5세트, 여자는 3세트로 경기 시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동일 상금을 지급하는 것은 ‘역차별’이라는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포브스는 “코로나19 때문에 윔블던이 취소되는 등 테니스 대회가 많이 열리지 못해 2021년 테니스 선수들의 수입이 다소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창금 선임기자 kimck@hani.co.kr

Let's block ads! (Why?)




August 18, 2020 at 08:46AM
https://ift.tt/3ga1GSy

여성 스포츠 최다수입 1∼9위는 테니스 선수 - 한겨레

https://ift.tt/37koVGH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여성 스포츠 최다수입 1∼9위는 테니스 선수 - 한겨레"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