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학 학위는 개인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대학위원회(College Board)의 보고서에 따르면 학사 학위 취득자의 평균 평생 소득은 고등학교 졸업자의 평균 소득보다 65% 높다.
미국 조지 워싱턴대학 출신인 데이빗 해거티 국제테니스연맹 회장은 스포츠경영학을 전공했다. 미국 유수의 스포츠기업 대표를 지냈고 미국테니스협회장을 역임했다. 그리고 국제테니스연맹(ITF) 회장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어떻게하면 테니스라는 종목에 각 기업의 투자가 모이게 하는 지에 있다. 국제테니스연맹은 4대 그랜드슬램대회의 수익금을 일부 받아 전세계 유망주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 미래의 챔피언들을 전세계 골고루 만들어 내려 하고 있다. 해거티 회장은 대학때 테니스를 한 인연으로 테니스 경영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에서의 스포츠가 사회적 기여로 발전된 대표적인 케이스다. 결국 사람은 조직을 만들고 조직은 사람을 알차게 만든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원경주 교수가 대학생들의 스포츠활동이 중요한데 대학 스포츠 교수나 강사의 멘토링이 대학생의 자신감, 스포츠몰입,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편집자
대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생활 적응은 대학생들의 생활 만족과 학업성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대학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사실, 기업 입장에서도 적응력이 뛰어난 인재를 대학에서 공급받고자 하는데, 대학에 적응을 잘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졸업 후 직장에서도 적응을 잘 할 가능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학업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도록 동아리활동, 창업 및 취업, 인턴, 상담, 멘토링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대학생활적응은 심리학적에서 기본적으로 개인에게 주어진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개인적인 노력을 의미하며, 개인이 처한 환경에서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어떠한 조직이든 조직의 특정한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갈등이나 불협화음을 조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기능이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멘토링이라 할 수 있다. 대학에서도 교수나 강사의 멘토링은 멘티의 학교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스포츠 영역에서는 태권도, 댄스스포츠, 볼링, 피트니스, 육상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멘토링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멘토링은 스포츠자신감, 스포츠몰입, 자기관리행동, 운동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들이 학회에 보고되었다.
이렇듯, 멘토링은 멘토와 멘티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호영향관계 속에서 친밀하고 다각적인 관계 또는 일대일 관계를 통해 교육적·정서적·심리적·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사회에서의 멘토링 기능은 지식 또는 기술 습득과 개인적 성장을 위해 도움을 주면서 멘토와 멘티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절한 행동방식과 바람직한 역할모형이 멘티의 역할수행에 있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는 많은 학들의 연구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처럼 멘토링의 중요성이 많은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내 교양체육 강좌 교수나 강사의 멘토링으로 인한 대학생의 스포츠 자신감과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대학 테니스 교수나 강사의 멘토링이 대학생의 자신감, 스포츠몰입,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경기도와 서울 지역의 대학교와 2019년 전국 대학동아리 테니스대회에 참여한 12개 대학교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내 테니스 교양 강좌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받았다. 연구내용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 대학 테니스 지도자의 멘토링과 대학생들의 스포츠자신감에서는 멘토링(심리사회기능) 만이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경력개발기능과 역할모형기능은 일반 대학교 학생의 스포츠자신감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Summary Table for Multiple Regression (Dependent Variable: Sport Confidence)
[표2] 테니스 지도자의 멘토링과 대학생들의 스포츠몰입에서도 멘토링(심리사회기능) 만이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경력개발기능과 역할모형기능은 일반 대학교 학생의 스포츠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Summary Table for Multiple Regression (Dependent Variable: Sport Commitment)
[표3] 테니스 지도자의 멘토링과 대학생활적응에서도 멘토링(심리사회기능) 만이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두 하위요인에서는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Summary Table for Multiple Regression (Dependent Variable: Campus life adaptation)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필자는 다시 한 번 수업하고 있는 방향과 목표에 대하여 제대로 가고 있다고 명확히 되새기는 시간이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하기 전에도 분명 스포츠를 통해 일반 학생들이 교육의 가치를 알아가고 그에 기반에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더욱 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을 확신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필자의 수업에 들었던 학생들에게 단순 스포츠 기술이 아닌 부모와 같은 마음으로 스승의 마음으로 교육의 기본 핵심에 대하여 최선을 다해 수업하였고, 이런 나의 열정적인 모습에 마음을 열고 열심히 따라준 학생들이 필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할 때에 스포츠를 통한 교육의 필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듯, 테니스 교수와 강사가 단순히 기술만을 가르치는 코치가 아니라, 인생을 지도하는 멘토라는 의식을 갖고 학생들과 교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대학교 교육 프로그램에서 스포츠를 통하여 일반 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 및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학문적 그리고 실용적 측면에서 대학교 테니스 수업에 실증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또한, 테니스뿐 아니라 볼링, 축구, 야구, 농구,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 교양수업의 강사와 교수들이 단순히 기능 전수나 일반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심리적 건강과 학교생활적응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포츠 수업에 대한 시간적 할애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원경주 교수
중앙여고- 한솔제지 테니스 선수 출신인 원경주 교수는 한국산업기술대학교 ICT 융합공학과 교수, 대한테니스협회 이사,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 산업전문가에 속해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테니스환경에 대해 연구하는 전문연구자다.
주요 논문
<테니스포털사이트 이용자의 관여도와 정보탐색 유용성, 고객만족 및 소비행동과의 관계>
원경주, (2014, 국민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인문·사회과학전공 박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대학 교양체육 테니스에서 양손 백핸드 그라운드스트로크 평가도구 개발>
Objectivity of the Proposed Evaluation Tool for Two-Handed Backhand Ground Strokes in College-Level Physical Education Tennis Classes
안한주(용인대학교), 원경주(서울시립대학교), 한원근(홍익대학교)
한국코칭능력개발원 코칭능력개발지 제17권 제4호2015.12
<테니스 발리 기술의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Tennis Volley Technique
원경주(서울시립대학교), 안한주(용인대학교), 한원근(홍익대학교)
한국코칭능력개발원 코칭능력개발지 제20권 제1호 (통권 제65호)2018.03
August 24, 2020 at 11:33AM
https://ift.tt/3gp5vDq
[기고] 대학생에게 스포츠가 왜 중요한가 - 테니스피플
https://ift.tt/37koVGH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기고] 대학생에게 스포츠가 왜 중요한가 - 테니스피플"
Post a Comment